646.663.1510
광고문의 646.663.1510
해킹·보이스피싱 당했다면?

요즘 이상한 전화들이 많이 오고 있습니다. 

혹시 미국에서 보이스 피싱을 당했을때 어떻게 처치 하면 좋을까요?




엠마.2025.06.18.조회수 1,261회

댓글목록

profile_image

BrianK님의 댓글

BrianK 작성일

1. 인터넷 범죄는 IC3에 즉시 신고한다

모든 해킹·사기성 이메일·디지털 범죄는 FBI 산하 ‘Internet Crime Complaint Center(IC3)’(ic3.gov)에서 신고할 수 있다. 신고 시 피해 날짜, 피해 유형, 금전 손실 여부, 관련 증거를 상세히 기재하면 사건 번호가 발급되며, 추적 조치가 진행된다. 이 신고는 후속 민간/공공 대응의 기반이 되므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2. 신분 도용은 IdentityTheft를 통해 복구 절차까지 진행

SSN, 운전면허, 은행 정보 등 신분정보가 도용되었다면 연방거래위원회(FTC)의 IdentityTheft.gov에서 단계별 복구 지침을 받을 수 있다. 신고자는 피해 내용에 따라 자동 생성되는 경찰 리포트, 계좌 해지 요청서 등을 활용해 직접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피해자가 신용 사기경보(Fraud Alert) 또는 신용동결(Credit Freeze) 중 하나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 사기 경보: 신규 신용 조회가 들어올 때마다 추가 확인을 요구하는 경고 시스템이며 1년간 유효하다.

- 신용 동결: 아예 외부의 모든 신용 조회 자체를 차단하는 조치로, 새로운 대출이나 카드 발급을 완전히 막는다. 이미 피해가 확정되었거나, 보이스피싱이나 데이터 유출이 확인된 경우에는 신용 동결이 더 강력한 방어 수단이 된다.



3. 은행, 통신사, 정부 기관 중 누구에게 먼저 연락해야 할까?

피해 상황에 따라 우선 순위는 달라지나, 보이스피싱 등 금전적 피해가 발생했을 경우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해당 은행이나 카드사에 연락해 계좌를 일시 정지시키고 피해 거래를 신고하는 것이다. 이후, 통신사에도 연락해 본인 인증 도용이나 2차 피해(예: 문자 인증 절도 등)를 차단해야 하며, 그 다음으로 FTC와 FBI에 공식적인 사건 접수를 진행한다. 즉, 금융 피해는 은행, 신원 도용은 FTC, 전산 침입은 FBI(IC3) 순으로 우선 대응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4. NYPD 및 NJSP에 지역 경찰 신고 병행

뉴욕시(NYPD)는 사이버 범죄 및 신분 도용 범죄에 대한 전용 온라인 포털을 운영 중이며,nyc.gov에서 민원 접수가 가능하다. 뉴저지주 경찰(NJSP) 또한 각 관할서별로 전자범죄 대응 전담 부서를 두고 있다. 특히 보이스피싱이나 문자 사기 등 실제 음성과 연결되는 유형은 지역 경찰의 추적 수사가 병행되어야 한다.



5. 뉴저지 주민은 NJCCIC를 통한 사이버 대응 체계 활용 가능

New Jersey Cybersecurity and Communications Integration Cell(NJCCIC)은 뉴저지 주정부 산하 조직으로, 개인과 기업을 위한 사이버 보안 경보, 실시간 해킹 정보, 사기 탐지 가이드를 제공한다. cyber.nj.gov에 가입하면 무료로 경고 메일과 최신 보안 리포트를 받을 수 있다.



6. 지역 비영리 기관의 도움도 요청할 수 있다

뉴욕에서는 Identity Theft Resource Center(ITRC), New York Legal Assistance Group(NYLAG), Legal Aid Society 등이 피해자 지원을 위한 법률 상담과 문서 대응을 지원한다. 뉴저지에서는 Volunteer Lawyers for Justice, NJ Citizen Action, Legal Services of New Jersey 등을 통해 민간 차원의 회복 절차가 가능하다. 경제적 피해가 크거나 복잡한 케이스일수록 이들 기관의 법률 상담을 조기에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7. 신속한 예방 조치는 피해 확산을 막는다

다단계 인증(MFA), 주기적인 비밀번호 변경, 의심스러운 링크 차단, 신용 모니터링 서비스 가입, 주요 계좌에 대한 알림 설정 등은 사이버 범죄를 막는 기본 방어선이다. 필요시 Google, Apple의 보안 체크 기능도 병행해 계정 전체의 보안성을 강화해야 한다.

위협은 예고 없이 찾아오지만, 대응은 언제든 준비될 수 있다. 신고는 복잡하지만, 하나하나 단계를 밟는 과정에서 피해자는 제 권리를 회복해간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피해가 곧 부끄러움이 아니라 공공 대응 체계의 작동을 위한 첫 시작이라는 점이다. 각자의 신고와 조치는 또 다른 누군가의 피해를 막는 집단 면역이 된다. 디지털 시대의 범죄는 혼자 싸우는 것이 아니다. 시스템과 공동체는 분명 존재한다. 행동은 곧 방어이고, 방어는 또 다른 누군가를 지키는 연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