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ucation
미국의 건축 분야는 건축학과 조경건축학의 두 분야로 크게 나뉘어져 있다. 대학에 따라 도시계획학도 건축대학의 한 분야로 취급된다. 미국에서 건축가(Architect) 면허를 갖고 일을 하려면, 우선 건축학으로 인정받는 대학교의 건축과에서 적어도 학사학위를 받은 후 3년 정도의 실무 경험을 쌓아야 하며 각주에서 시행하는 면허 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이같은 실무경험을 쌓는 건축가를 인턴 건축가(Intern-Architects)라 부르고, 대개는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건설제도…
안녕하세요 여러분~요즘 미국 부동산 시장의 과열로 정말 바쁜 하루를 보내고 있습니다. 바쁜와중에 자리 비우기도 어렵고 코로나 바이러스 판데믹으로 어디 다니기도 참 고민되지만, 특목고에 다니는 딸이 내년에 대학을 가게되서 명문인 코넬 대학교 (Cornell University)로 캠퍼스 투어를 갔습니다.미국은 땅덩어리도 참 넓고, 집에서 몇시간 걸리는 곳으로 대학교를 가게 되는 경우도 있어서 대학에 지원하고 다니기 전에 방문하면 좋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온라인으로 사전조사도 가능하…
미국 대학 입시 컨설턴트만 8000여명, 한 해 100~200명씩 명문대 합격시켜 부모들의 자녀 명문대 보내기 욕심은 미국에서도 마찬가지다. 초등학교 6학년 때부터 '입시 코디'를 고용해 명문대 진학 교육을 시작하고, 하버드대 입학에 성공하면 11만달러(약 12억 3000만원)의 성공보수가 쏟아지기도 한다.5일 미국 교육컨설팅협회(IECA)에 따르면 현재 미국에서 활동 중인 입시 컨설턴트들은 7500~8000여명 수준으로 5년 전에 비해 3배 이상 그 수가 늘…
대학 편입에 대한 관심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특히 코로나 사태 장기화로 인해 학비에 대한 부담이 커지면서 경제적 이유로 대학 편입을 고려하는 학생들도 늘고 있다. 하지만 대학 진학과 마차가지로 편입 또한 경쟁이 더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철저한 플랜을 세우지 않는다면 좋은 결과를 얻기는 힘들 것이다 편입 준비과정과 편입시 알아야 할 사항들을 모아봤다.◆ 왜 편입을 해야 하는가편입은 모두에게 꼭 필요한 과정은 아니다. 이런 점에서 자신이 왜 편입을 해야 하는지 냉정하…